행동주의 심리학
인간행동심리학이라는 학문 분야도 존재하지만 주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마주치는 사람들의 태도나 사고방식 또는 감정 표현 방식 등을 분석하여 이를 마케팅 전략 수립 및 조직 관리 측면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접근 방법론으로서 ‘행동주의 심리학’이란 용어가 더 널리 통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된 이론들은 오늘날 기업 경영자들에게도 매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도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 차원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행동주의 심리학의 기본 개념 체계를 간략히 살펴본 후 구체적인 사례연구로서 광고 모델 선정 과정에서의 소비자 반응 유형 분류 문제를 다루어 보고자 한다.
개념체계
먼저 행동주의 심리학의 기본 개념 체계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 자극-반응 연합이론(S-R연합) 둘째, 고전적 조건형성 셋째, 조작적 조건형성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S-R연합은 어떤 사건 A가 B라는 반응을 야기한다는 식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원리인데 쉽게 말하면 “A 하면 B 한다”라는 공식과도 같다. 가령 배가 고프면 음식을 먹고 싶고 졸리면 잠을 자고 싶은 욕구가 생기는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두 번째 고전적 조건형성은 파블로프의 개 실험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종소리=음식이라는 관계를 형성시켜 나중에는 종소리만 들어도 침을 흘리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조작적 조건형성은 스키너의 상자 실험으로 유명한데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온다는 보상체계를 통해 나중에는 자발적으로 지렛대를 누르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사례연구
다음으로 구체적인 사례연구로서 광고 모델 선정 과정에서의 소비자 반응 유형 분류 문제를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보통 일반인들은 TV광고를 볼 때 무의식적으로 시청한다고 생각하는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 특히 연예인 관련 프로그램일수록 더욱 그렇다. 대다수의 시청자들은 해당 방송사 홈페이지 게시판이나 SNS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물론 모든 댓글이 긍정적인 평가 일색이진 않겠지만 적어도 부정적인 평가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바이럴 마케팅이자 입소문 마케팅이 아닐까 싶다. 만약 당신이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면 반드시 참고하길 바란다.
반응 유형
그렇다면 광고 모델 선정 과정에서 소비자 반응 유형을 분류해 본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 또한 이에 대한 답은 광고 모델의 대중성, 대중적 호감도, 대중적 공감대, 대중적 트렌드 등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대중적인 취향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또한 광고 모델이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소비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등을 체크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통해 광고 모델 선정에 있어서 좀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대중적 호감도와 대중적 공감대를 기반으로 광고 모델을 선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소비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체크하며 광고 모델의 이미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캠페인은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모델 선정에 있어서는 대중적 호감도와 대중적 공감대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 심리분석 이론 슈퍼에고 이드 에고 (0) | 2023.07.02 |
---|---|
감정지능 정의 상승 방법 후기 (3) | 2023.05.29 |
발달심리학 정의 예시 체험 후기 (1) | 2023.05.27 |
상담심리학 정의 예시 후기 (1) | 2023.05.26 |
성격심리학 여러 이론 예시 정리 (0) | 2023.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