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55 [행동주의 심리학] 전이효과 정의 발생 이유 활용법 전이란 어떤 대상에게 가졌던 감정 또는 태도가 다른 대상에게 옮겨가는 현상을 말해요. 예를 들어보자면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나를 좋아한다고 하면 기분이 좋고, 싫어하는 사람이 나를 싫어한다고 하면 기분이 나쁘죠. 이처럼 누군가로부터 받은 긍정적인 느낌과 부정적인 느낌이 다른 사람에게로 옮겨가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전이현상은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우리 사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죠. 전이효과 정의 전이효과(Transfer Effect)는 한 사람 또는 상황으로부터 받은 감정, 태도, 또는 경험이 다른 사람이나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인간 간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심리적 현상 중 하나입니다. 전이효과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예시를 통해 이해.. 2023. 8. 15. [행동주의 심리학] 관습화 고전적 조작적 조건형성 관습화란 어떤 대상 또는 현상과 관련된 지식들이 반복되는 과정 속에서 점차 보편성을 띠며 굳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은 인간의 학습과정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어렸을 때 부모님으로부터 “밥 먹어라”라는 말을 듣고 밥을 먹는다. 이처럼 특정 상황에서의 언어적 지시 등 여러 가지 정보들을 습득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상황에 적용시키게 된다. 즉, 기존의 경험 및 인지 내용이 새로운 상황에 전이되어 동일한 결과를 초래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행동주의 심리학 행동주의 심리학은 심리학의 한 접근법으로서 관찰 가능한 행동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초점을 둔 이론적 및 실험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행동주의 심리학은 인간의 내면적인 생각이나 감정보다는 행동 자체에 주목.. 2023. 8. 14. [행동주의 심리학] 일반화 구별 파블로프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모든 행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형성된 행동은 지속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에서의 주요 개념인 일반화와 구별이라는 용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과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반화 정의 일반화는 특정한 상황, 개체, 혹은 그룹의 속성이나 특성을 보다 일반적인 형태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러 개별 사례나 예시들로부터 공통된 패턴이나 속성을 도출하여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도출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예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사람들의 선호: 설명하신 것처럼 "김치찌개를 좋아해"라는 말에서 시작해서 "나도 김치찌개 좋아하는데"라는 대답.. 2023. 8. 13. 소멸 현상 필요 이유 및 부정적 영향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모든 행동은 학습과 강화라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어떤 행동이든 무조건 강화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길을 가다가 쓰레기를 줍는 사람에게 칭찬을 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습관화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행동을 했을 때 그것을 관찰함으로써 보상을 받기 때문입니다. 즉, 내가 한 행동 자체보다는 나의 행동을 보고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서 긍정적인 효과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겁니다. 이렇게 타인의 시선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현상을 ‘소멸’이라고 부릅니다. 남 시선을 신경 써야 하는 이유 사람들은 각자의 가치관과 신념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들은 그들의 개성과 정체성을.. 2023. 8. 10.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